H_Develop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H_Develop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21)
    • DataBase (37)
      • CUBRID (1)
      • MSSQL (5)
      • Oracle (26)
      • Linux, MySQL (2)
      • JDBC (2)
    • FrontEnd (100)
      • react (2)
      • JSP (JavaServerPage) (17)
      • Servlet (3)
      • HTML (23)
      • HTML 반응형 웹 (9)
      • JavaScript (24)
      • JQuery (21)
      • CSS (1)
    • BackEnd (48)
      • project (1)
      • JAVA (34)
      • JAVA_Collection (2)
      • PHP (11)
    • Framework (16)
      • Spring (14)
      • SpringBoot (2)
    • 개념정리 (7)
    • 각 언어 별 사용 이유 (1)
    • OS (4)
      • 리눅스 (3)
    • 보안 (1)
    • TDD (0)
    • Git (5)

검색 레이어

H_Develop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Git

  • git push 에러

    2023.06.25 by H_Develop

  • PR(Pull request), fork - push 권한이 없는 오픈소스프로젝트에 기여

    2023.06.23 by H_Develop

  • linear git history, cherry-pick

    2023.06.23 by H_Develop

  • merge, rebase, squash merge

    2023.06.23 by H_Develop

  • Branch 종류 5가지

    2023.06.23 by H_Develop

git push 에러

https://jobc.tistory.com/177 git push, pull (fatal: refusing to merge unrelated histories) 에러 원격 저장소를 remote로 설정하고 바로 push를 하면 몇가지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오류 메시지이다.12 ! [rejected] master -> master (non-fast-forward)error: failed to push some refs to 'https: jobc.tistory.com 집과 사무실에 같은 저장소를 연결하고 사무실에서 이것저것 해보고 집에서 이것저것 해보고 push 하려는데 오류가 났다. git push origin main info: please complete authentica..

Git 2023. 6. 25. 01:03

PR(Pull request), fork - push 권한이 없는 오픈소스프로젝트에 기여

PR(Pull Request) 내가 수정한 코드가 있으니 내 branch를 가져가 검토 후 병합해주라고 요청 해주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PR을 통해 코드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고 push 권한이 없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할 때 많이 사용한다. 절차 1. Fork (포크로 쿡 찔러 가져오듯 다른 사람의 저장소에 있는 레포지토리를 내 원격 저장소, 깃허브로 가져오는 것이다.) 2. clone, remote설정 3. branch 생성 4. 수정 작업 후 add, commit, push 5. Pull Request 생성 6. 코드리뷰, Merge Pull Reqest 7. Merge 이후 branch 삭제 및 동기화 1. Fork 타겟 프로젝트의 저장소를 자신의 저장소로 Fork한다. Fork가 완료되면..

Git 2023. 6. 23. 16:38

linear git history, cherry-pick

linear git history git 그래프 모양을 single branch 로 유지하는 것. merge commit 을 허용하지 않고, 항상 rebase 또는 fast forward merge 를 사용하여 브랜치 그래프를 최대한 단순한 모양으로 유지하는 방식이다. cherry-pick git cherry-pick은 다른 브랜치에 있는 커밋을 선택하여 내 브랜치에 적용시킬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rebase도 원하는 커밋을 선택할 수 있지만 현재 브랜치 위에서만 가능합니다. 다른 브랜치의 commit을 가져오고 싶다면 해당 브랜치를 현재 브랜치로 merge 후 rebase 해야합니다. cherry-pick은 같은 내용을 갖고 있는 커밋을 여러개 생성하기 때문에 꼭 사용해야만 할 때 진행하는 것이 ..

Git 2023. 6. 23. 14:31

merge, rebase, squash merge

$ git branch my-branch $ git checkout my-branch 작업을 다 끝내고 master 브랜치에 merge를 하려고 했는데, 내가 merge하기 전에 누군가가 master 브랜치에 다른 작업을 한 후 commit하고 push했다. merge 하나의 브랜치와 다른 브랜치의 변경 이력 전체를 합치는 방법이다. commit a, b, c를 refer하는 m이 생성되고 m을 통해 a + b + c가 master에 추가된다. (a, b, c, m 모두 커밋 객체) m은 2개의 parent를 가진다. $ git checkout master $ git merge my-branch squash merge commit a + b + c를 합쳐서 새로운 commit, abc를 만들어지고 mas..

Git 2023. 6. 23. 14:28

Branch 종류 5가지

항상 유지되는 메인 브랜치(master, develop)와 일정 기간 동안만 유지되는 보조 브랜치(feature, release, hotfix)가 있다. 1. Master Branch 제품으로 출시될 수 있는 브랜치 배포(Release) 이력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 즉, 배포 가능한 상태만을 관리한다. 2. Develop Branch 다음 출시 버전을 개발하는 브랜치 기능 개발을 위한 브랜치들을 병합하기 위해 사용. 즉, 모든 기능이 추가되고 버그가 수정되어 배포 가능한 안정적인 상태라면 develop 브랜치를 ‘master’ 브랜치에 병합(merge)한다. 평소에는 이 브랜치를 기반으로 개발을 진행한다. 3. Feature branch 기능을 개발하는 브랜치 feature 브랜치는 새로운 기능 개발 및..

Git 2023. 6. 23. 14:2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H_Develop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